>RE::VISION CRM

인공지능

[ChatGPT] 검색 기능 활용의 주의 사항들 - 잘못된 검색 결과?

YONG_X 2025. 1. 26. 09:04

 

[ChatGPT] 검색 기능 활용의 주의 사항들 - 잘못된 검색결과?

 

A mosaic-style image of an AI robot intensely surfing the web, contemplating information to respond to a complex user query. The image is constructed of multiple three-dimensional cubes set at various planes, creating a disjointed three-dimensional effect. The cubes are rendered in natural colors, blending warm earthy tones with subtle metallic highlights, showcasing a futuristic yet artistic design. The AI robot's facial features and hands are intricately formed by the cubes. The composition is wide-shaped, emphasizing depth and geometry, with serene, moody lighting enhancing the contemplative atmosphere.

 

 

ChatGPT가 제공하는 검색 기능은 분명 혁신적인 도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기능을 잘 활용하려고 한다면 이 검색 기능과 발전 과정, 그리고 동시에 존재하는 한계점들을 함께 이해해야, 실제 사용자들이 ChatGPT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분명 사람들은 이제 예전보다 훨씬 빠르고 간편하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특정 키워드만 입력하면 관련 텍스트를 즉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편리함 뒤에는 정보 출처의 신뢰성 부족과 실시간 정보 업데이트의 한계, 그리고 학습 데이터 편향성에 따른 왜곡된 결과가 발생할 여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부분은 ChatGPT가 제시하는 결과가 언제나 진실이거나 완벽하지 않다는 점이다. 가령 “현재 한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책”을 묻는다면, ChatGPT는 이전에 학습된 데이터나 제한된 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대답을 내놓겠지만, 실제 출판 시장의 최신 동향이나 종합적인 판매 통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특히 실시간 판매 순위를 추적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매일 바뀌는 베스트셀러 목록과 일치하지 않는 답변을 할 수도 있다. 이는 동일한 질문이라 하더라도 시점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과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흔히 사용하고 또 현실적으로 유용한 예 하나는 “아디다스 운동화를 가장 싸게 파는 곳”을 검색했을 때 실제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ChatGPT가 제시하는 결과가 종종 특정 쇼핑몰 정보나, 특정 시점에 확보된 온라인 가격 정보를 토대로 단순화되어 있다는 사실과 관련된 것이다. 오프라인 매장 할인 행사나 실시간 프로모션 상황을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 경로를 통해 가격을 비교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즉, 인공지능이 아무리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했다 하더라도 모든 사용자의 세부적 상황이나 실시간 정보를 일일이 추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물론 ChatGPT의 검색 기능이 전혀 무용지물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사용자는 단순히 검색 결과를 받아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그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검색 결과를 맹신하지 말고, 다른 출처와 교차 검증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매우 중요한 정보 활용 능력으로, 개인 블로그나 SNS처럼 신뢰도가 낮을 수 있는 채널에 게시된 글과, 공신력 있는 기관의 공식 발표 자료를 비교하는 과정을 거쳐 객관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은 필수적으로 유념해야할 기본 원리라 할 수 있다.

 

또, 영어로 검색했을 때와 한국어로 검색했을 때 결과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하고 활용해야 한다. 언어별, 지역별 데이터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문제별로 필요에 따라 여러 언어로 검색하거나 다른 표현 방식을 시도해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인기가 많은 액세서리 브랜드”라는 표현 대신, “2025년 한국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액세서리 브랜드”라는 식으로 질문을 구체화하면 더 정확하고 맥락 있는 답변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사용자 스스로가 원하는 정보를 더 면밀히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과 직결된다.

 

또한, 검색은 공개된 데이터에 의존할 수 밖에 없고, 공개된 데이터 자체가 편향성을 가지고 있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다. 특정 문화권의 자료가 과다하게 노출되어 있다면 그 편향이 그대로 또는 증폭되어 반영될 수 있다. 특정 이슈에 대한 관점이 편중된 텍스트를 대량으로 학습했을 경우, 그에 따른 편향된 답변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

 

ChatGPT가 지닌 풍부한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활용하되, 항상 그 한계를 직시해야 한다. 또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원하는 정보의 범위를 적절히 좁히고, 각종 출처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좀 더 정확하고 유익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hatGPT 사용자들은 검색 기능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적극 활용하되, 그 한계와 주의 사항, 그리고 더욱 스마트하게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해야할 것이다.

 

 

Plus:

챗GPT의 검색이 이 정도 수준이라고 한다면, 중요한 작업들, 예를들어 쇼핑하기를 AI 에이전트에 전적으로 맏긴다는 것이 가능할까? AI 에이전트에 대해 현실과는 다소 괴리된 환상들이 이야기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관련 영상] ChatGPT 검색은 빵점? 아니면 100점? 어떤 경우에 잘못된 검색 결과를 줄까? - 검색 실패 사례 연구

https://www.youtube.com/watch?v=5SE-vloG7dQ

 

 

 

-----------

 

#챗gpt #gpt #AI #챗gpt #AI활용
#전용준 #리비젼 #리비젼컨설팅 #promptstrategies

 

 

참고::

 

이 글은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책 중의 프롬프트 작성방법 부분을 보강 / Update하기 위한 내용입니다. 책에 대한 소개는 다음을 참고하세요 

https://revisioncrm.tistory.com/596

 

[책]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어떻게 다른가?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실전!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어떻게 다른 ChatGPT 책들과 다른가?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실전!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디지털

revisioncr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