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CRM

프롬프트 90

챗GPT 프롬프트에서 특히 신경써야 하는 3가지 조건

챗GPT 프롬프트에서 특히 신경써야 하는 3가지 조건 좋은 프롬프트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알려져있다. 그러나, 그 조건들을 살펴보면 사람과의 대화에서 중요한 사항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어 보인다. 과연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일까 아니면 AI와의 대화를 위한 프롬프트에서 좀 더 중요하거나 특별히 고려해야하는 사항들이 있는 것일까를 짚어 본다.  좋은 프롬프트의 조건 10 1. 목적의 명확성 모든 의사소통의 기본은 '의도를 분명히 밝히는 것'이다. 상대방이 무엇을 도와줘야 하는지, 어떤 결론을 기대하는지를 분명히 알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은 인간 간 대화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AI와의 대화에서 달라져야 할 점: 인간은 어조, 표정, 맥락 등을 통해 의도를 유추할 수 있지만, AI는 입력된 텍스트만..

인공지능 17:10:40

초보자를 위한 챗GPT 프롬프트 작성법 123

초보자를 위한 챗GPT 프롬프트 작성법 123ChatGPT를 사용하는 것이 쉬운 것 같으면서도 익숙하지 않으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마법 지팡이를 들고 있지만 설명서가 없는 것 같은 답답함을 느끼게도 된다. 그래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를 세가지 측면에서 생각해본다.   [1] 챗GPT 결과가 계속 나쁘게만 나오는 이유와 대책은?많은 초보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AI를 사람처럼 대화 상대로만 생각하고, 원하는 작업이나 목적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 없이 막연한 질문만 던진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이거 어떻게 생각해?", "너라면 어떻게 할래?" 같은 질문은 사람 간의 대화에서는 자연스러울지 몰라도, AI에게는 너무 모호해서 정확한 답변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신 "이런 ..

인공지능 2025.04.06

지브리가 챗GPT에 미친 영향의 크기는

"지브리로 바꿔줘"가 챗GPT에 미친 영향의 크기 검토 지브리 스타일이 대유행했다. 과연 이 유행은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을까? 그리고 어떤 영향을 미친 것일까? 아래 차트는 ‘만화스타일’과 ‘챗GPT’에 대한 구글 검색량 추이다. 최근의 폭발적인 만화스타일 관심 증가는 챗GPT에 대한 관심을 두 배도 넘게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오픈AI가 이미지 생성 기능을 도입하며 사용자 경험을 확장한 전략의 성공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이 정도까지 폭발적일 것으로는 예상하지 못해 충분한 대비는 할 수 없었을 것이다.챗GPT는 본래 텍스트 기반 생성 모델로 출발했지만, 이미지 생성 기능(DALL·E 통합)을 추가하면서 사용자의 관심을 보다 시각적인 영역까지 끌어..

인공지능 2025.04.05

[ChatGPT] AI 로봇 그리기 2025 - 프롬프트 실험

[ChatGPT] AI 로봇 그리기 2025 - 프롬프트 실험 챗GPT의 이미지 생성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으니 테스트 드라이브를 해보자. 가장 기본적으로 테스트해보는 소재, AI로봇. 이번에도 AI 로봇을 다양하게 그려보자.  주제: 전략을 세우는 AI 로봇 Prompt::AI 로봇이 전략을 세우는 장면 >> 기본적으로 만화풍을 선택한 것이 의외. 정제된 톤에 단순화되어 의미 전달은 잘 되지만, 가벼운 느낌이다.#만화스타일 #챗GPT만화스타일   Prompt:: AI 로봇이 전략을 세우는 장면. hyper realistic >> hyper realistic으로 바꾼다면 무게감이 더해질 수 있다. 로봇의 외관에 질감을 추가했으나 호불호가 갈릴 수 있을듯. 그런데 왜 갑자기 정사각형이 아니라 9:16 아래로 ..

인공지능 2025.04.05

쓸모있는 챗GPT 답변의 기준은 무엇인가? 그래서, 대책은?

쓸모있는 챗GPT 답변의 기준은 무엇인가? 그래서, 대책은?   사용자들이 ChatGPT의 답을 유용하고 쓸모있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답변이 명확하고 간결해야 한다. 사용자는 지나치게 길거나 복잡한 답변보다는 핵심을 짧고 명확하게 전달하는 답변을 선호한다. 따라서, 필요 없는 정보는 제외하고 핵심적인 내용만을 요약하여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답변의 정확성이 중요하다. 답변이 사실에 기반하여 정확해야 사용자는 그 답변을 쓸모있다고 판단한다. 만약 잘못된 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정확한 답변이 제공되면, 그 답변은 신뢰를 잃게 되고 결국 쓸모없다고 여겨질 수 있다.  챗GPT 사용자들은 요구한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답변을 원한다 셋째, 사용자가 한 질문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답..

인공지능 2025.03.30

[ChatGPT] 프롬프트는 챗GPT에게 고치라고 하면 최적화될까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종말?

[ChatGPT] 프롬프트는 챗GPT에게 고치라고만 하면 최적화될까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종말?   "이제는 챗GPT에게 프롬프트를 알아서 개선하도록 지시하면 되니까 사람이 직접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작업은 더 이상 필요 없어졌다"는 주장이 최근 AI 분야에서 자주 등장한다. 이 주장은 얼핏 듣기에 그럴듯하다. 마치 자동 청소 로봇이 생겼으니 사람이 빗자루를 들 필요가 없어졌다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게 들린다. 하지만 자세히 따져보면 논리적으로나 실제적으로나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난다.먼저 이 주장을 논리적인 관점에서 들여다보자. "프롬프트에 프롬프트를 개선하라고 지시한다"는 말은 스스로를 가리키는, 즉 자기지시적 구조를 가진 문장이다. 이런 자기지시적 구조가 반드시..

인공지능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