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CRM

리비젼 291

챗GPT 프롬프트에서 특히 신경써야 하는 3가지 조건

챗GPT 프롬프트에서 특히 신경써야 하는 3가지 조건 좋은 프롬프트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알려져있다. 그러나, 그 조건들을 살펴보면 사람과의 대화에서 중요한 사항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어 보인다. 과연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일까 아니면 AI와의 대화를 위한 프롬프트에서 좀 더 중요하거나 특별히 고려해야하는 사항들이 있는 것일까를 짚어 본다.  좋은 프롬프트의 조건 10 1. 목적의 명확성 모든 의사소통의 기본은 '의도를 분명히 밝히는 것'이다. 상대방이 무엇을 도와줘야 하는지, 어떤 결론을 기대하는지를 분명히 알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은 인간 간 대화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AI와의 대화에서 달라져야 할 점: 인간은 어조, 표정, 맥락 등을 통해 의도를 유추할 수 있지만, AI는 입력된 텍스트만..

인공지능 2025.04.11

[ChatGPT] 프롬프트는 챗GPT에게 고치라고 하면 최적화될까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종말?

[ChatGPT] 프롬프트는 챗GPT에게 고치라고만 하면 최적화될까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종말?   "이제는 챗GPT에게 프롬프트를 알아서 개선하도록 지시하면 되니까 사람이 직접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작업은 더 이상 필요 없어졌다"는 주장이 최근 AI 분야에서 자주 등장한다. 이 주장은 얼핏 듣기에 그럴듯하다. 마치 자동 청소 로봇이 생겼으니 사람이 빗자루를 들 필요가 없어졌다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게 들린다. 하지만 자세히 따져보면 논리적으로나 실제적으로나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난다.먼저 이 주장을 논리적인 관점에서 들여다보자. "프롬프트에 프롬프트를 개선하라고 지시한다"는 말은 스스로를 가리키는, 즉 자기지시적 구조를 가진 문장이다. 이런 자기지시적 구조가 반드시..

인공지능 2025.03.21

[가상토론] ChatGPT 의존으로 사고력이 사라질까?

[가상토론] ChatGPT 의존으로 사고력이 사라질까?   챗GPT가 편하고 유용하다고 느끼기 시작해서 많이 아주 자주 활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자주 사용할수록 점덤 더 생각을 스스로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챗GPT가 던진 답을 그대로 복사해서 사용하는 방향으로 변해간다. 과연 이와같은 의존성 심화가 인간의 독자적 사고력을 감소시킬 것인가? 만일 그렇다면 그 것을 막기 위한 현실적인 대책은 무엇일까?이 포스트는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을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것을 메인 주제로, 그 과정에서 "토론 시키기" 프롬프트 작성 방식도 테스트 해본다.   ChatGPT Prompt::          "ChatGPT를 활용하는 것이 일상화되면서 의존도가 높아져 스스로 사고하기를 꺼리고 결국 점점 사고력이 ..

인공지능 2025.03.16

챗GPT 유용한 활용과 8가지 프롬프트 개선 사례

챗GPT의 유용한 활용과 8가지 프롬프트 개선 사례    ChatGPT를 비즈니스 실전에서도 활용하는 사례가 점점 많아지고 다양해지고 있지만, 실제로 적용할 때 어디서인가 배운대로, 교과서에 나온대로 해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교과서나 강의가 잘못된 것일까?) 단순한 프롬프트로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가 어렵고, 기술적·논리적·환경적 제약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븐명 각각의 프롬프트를 면밀히 검토하고 보다 정교하게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그러나, 이미 작성한 프롬프트의 어느 부분을 어떻게 고쳐야하는가를 설명하고 이해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여기 8개의 매우 흔히 적용할 수 있을만한 비즈니스 문제들을 살펴보자. 어떤 식으로 작성한 프롬프트를 어떻게 고치면 더 나아질지를 검토해보자.  1/ 개인 비..

인공지능 2025.03.09

[챗GPT] GPT 4.5가 무엇을 얼마나 잘하나?

[챗GPT] GPT 4.5가 무엇을 얼마나 잘하나? (o3 mini-high와 비교)   ChatGPT에게 최근 공개된 GPT 4.5가 잘할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사용자 반응을 조사하게 해봤다. 루머로 도는 이야기들 처럼 GPT 5가 5월에 출시된다면 두달 남짓의 짧은 수명만이 예고된 애매한 모델. 그러나 당장은 나름 최신 모델이니 무시하기도 애매하니까.사용자 반응 조사 결과, 몇 가지 강점들이 이야기되고 있었으나, 가장 큰 강점으로 이야기하는 (1) 감각적이고 공감 능력이 높은 답변 방식, 그리고 나머지들 중 하나인 (2) 논리적 추론이 특히 관심이 갔다. (참고로, 사용자 평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향상된 대화 능력과 감성 지능: GPT-4.5는 이전 모델보다 인간과의 대화에서 더 깊은 감정..

인공지능 2025.03.07

왜 책을 쓰는가에 관하여

왜 책을 쓰는가에 관하여 책을 쓰는 일은 무척이나 멋진 여행과도 같다. 한줄을 쓰기 위해 열줄이나 백줄을 읽고 곱씹어 생각하며 탐험하게 하기 때문이다. AI툴로 가볍게 찍어내서 원고를 마칠수도 있고 또 그것으로 흥행까지도 가능한 시대이지만, 한 줄 한 줄 안에 무엇을 어떻게 담을 것인지, 자신을 포함한 어떤 독자에게 어떤 가치를 줄 것인지를 생각하는 과정은 결과와는 무관하게 그 자체가 쓰는 이에게 엄청난 유희이다

나의 이야기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