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CRM

리비젼 282

[ChatGPT 프롬프트] 다시 한 번 생각해보라 - 지시가 효과가 있을까?

[ChatGPT 프롬프트] 다시 한 번 생각해보라 - 지시가 효과가 있을까? 어떤 답변이 마음에 들지 않은 상황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봐"라고 지시하면 다시 생각해보고 더 나은 답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다. 사람의 경우 대충 답했던 문제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때는 좀 더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생각해본다.  그때문에 답이 달라질 수도 있고 더 나은 답이 나올 수도 있다.  실제로 이 방식을 프롬프트로 사용해보면 ChatGPT가 내놓는 새로운 답이 이전의 것과 다를 수도 있다. 그러나 더 나은 답이 나오는 것일까?   만일 다시 해보라고 하면서 조건을 변경시켜주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해준다면 그 때는 더 나은 답이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시장에 한정한다는 점을 고려하고, 한국 시장에..

인공지능 2024.10.04

해변에서 자유를 만끽하는 당신에게 [ChatGPT for 마케팅]

[블로그 글 초안]  "해변에서 자유를 만끽하는 당신에게"서늘한 바람과 햇살의 조화: 해변의 첫 발걸음바다의 파도가 부드럽게 속삭이는 그 순간, 해변의 모래 위로 첫 발걸음을 내딛는 느낌은 자유로움 그 자체입니다. 바람이 스쳐 가며 몸에 감기는 원피스는 더없이 편안하고, 햇살은 따스하게 당신의 얼굴을 감쌉니다. 이 순간, 당신은 세상과 하나가 된 듯한 기분을 느낍니다. 걷는 한 걸음 한 걸음이 가벼워지고, 세상의 소음은 멀어지며 오직 자연과의 조화만이 남습니다.사진 추천: 해변 위를 첫 발걸음을 내딛는 여성의 뒷모습. 바람에 휘날리는 원피스와 함께 반짝이는 바다와 하늘. 파도와 함께 춤추다: 마음을 풀어내는 산책바닷바람이 조금씩 강해지고 파도는 발목을 적시기 시작합니다. 그럴수록 기분은 한층 더 가볍습니..

인공지능 2024.09.25

[ChatGPT] 답변 정확성과 신뢰성 향상 방안 -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게 하기

[ChatGPT] 답변 정확성과 신뢰성 향상 방안 -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게 하기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모델이 답변을 생성할 때, 정확성과 신뢰도를 유지하는 것이 당연히 매우 중요하다. 정확성이나 신뢰도가 낮은 답변이 나오는 이유는 크게 보면 두 가지다. [1] 정보 부족이나 [2] 무리한 답변 시도가 발생할 경우. 이를 방지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어떤 전략을 사용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보자. 정보 부족ChatGPT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한 모델이지만, 모든 데이터를 학습한 것은 아니므로 모든 주제에 대해 완벽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특정 주제에 대한 학습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질문이 최신 정보와 관련되어 있을 때, 모델이 제공하는 답변이 부정..

인공지능 2024.09.05

[ChatGPT] 좀 더 전문적인 프롬프트를 작성하기 위한 방법 검토 - 7가지 정리

[ChatGPT] 좀 더 전문적인 프롬프트를 작성하기 위한 방법 검토 - 7가지 정리    어떻게 하면 좀 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이고 유용한 답변을 줄 수 있는 형식으로 프롬프트를 작성할 것인가? 프롬프트의 작성에서 무엇을 담아서 작성할 것인가(What)와 어떤 식으로 작성할 것인가(How) 두 가지 측면에 모두 중요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중요한 7가지 핵심 포인트를 짚어보자. 1. 시간/시점 지정 시간을 특정하면 언어 모델이 시점에 맞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24년 현재의 최신 트렌드"와 같은 프롬프트 구문은 최신 정보를 반영하게 한다. 이는 특히 최신 정보가 중요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다. 2. 문화적/지역적 차이 반영 명시 문화와 지역에 따라 표현 방식이나 이해도가 달라질 수 있..

카테고리 없음 2024.08.30

AI 기업 업무 활용에 대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태도 - 현주소

AI 기업 업무 활용에 대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태도 - 현주소  2024년 여름 현재 AI는 기업의 혁신과 성과를 위한 핵심적인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물론 다양한 시각이 있고 우려도 있지만 AI가 가진 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매우 높다. 하지만 사회 전체적인, 경영진 중심의 기업 분위기 측면에서와 현장의 기업 실무를 담당하는 입장은 상당한 온도차가 있는 것 역시 사실이다. 그렇다면 그 두가지 기류가 구체적으로는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자.    사회 전체적인, 경영진 중심의 기업 분위기 측면   사회 전체적인, 경영진 중심의 기업 분위기 측면을 간단하게 ChatGPT에게 조사해보라고 하면 거의 비슷한 모습이 보인다. 다음은 ChatGPT가 인공지능 기술의 업무 활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조사해..

인공지능 2024.08.25

거대비언어모델 주장에 대한 중립적 비평

[인공지능] 거대비언어모델 주장에 대한 중립적 비평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4/07/22/FXWJNMB67RBWFA57BMLP7D37NY/?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김대식의 미래 사피엔스] [60] 거대비언어모델(LTM)김대식의 미래 사피엔스 60 거대비언어모델LTMwww.chosun.com  기사 요약 (ChatGPT) 1957년 처음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이 등장했을 때, 연구자들은 크게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첫째는 물체 인식이 가능한 기계를 만드는 것이었고, 둘째는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드는 것이었다. 초기에는 이 두 ..

인공지능 2024.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