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CRM

생성형AI 4

거대비언어모델 주장에 대한 중립적 비평

[인공지능] 거대비언어모델 주장에 대한 중립적 비평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4/07/22/FXWJNMB67RBWFA57BMLP7D37NY/?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김대식의 미래 사피엔스] [60] 거대비언어모델(LTM)김대식의 미래 사피엔스 60 거대비언어모델LTMwww.chosun.com  기사 요약 (ChatGPT) 1957년 처음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이 등장했을 때, 연구자들은 크게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첫째는 물체 인식이 가능한 기계를 만드는 것이었고, 둘째는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드는 것이었다. 초기에는 이 두 ..

인공지능 2024.07.24

생성형 AI를 활용한 의미기반 상품정보 제공 사례 Example - plus 교훈

생성형 AI를 활용한 의미기반 상품정보 제공 사례 Example - plus 교훈 이제 생성형 AI를 업무 전반에 본격 적용하겠다는 시도가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업무유형에 따라서는 상당히 높은 완성도를 만족해야만 본격 적용이 가능한 경우들이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의 검색기능과 같은 경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동시에 상당히 높은 수준의 완성도가 요구되는 것이다. 관련된 국내 사례를 하나 살펴보고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  국내 사례 개요: 한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고객의 검색에 자연어 기반의 설명을 제공하는 시스템 기능을 추가했다. 기본 검색기능에 고객이 검색하면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풀어서 설명하는 방식이다.그러나 이 사례는 대표적으로 완성도 낮은 생성형..

인공지능 2024.06.24

최종사용자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이 줄어들까

최종사용자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이 줄어들까?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관련해 두 가지 근본적인 질문을 생각해보자. 1. 챗GPT를 사용하면서 최종사용자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것 까지 신경쓰는 것이 꼭 필요한 것일까? 2. 생성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니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점점 덜 중요해지지 않을까? [ PROMPT ] explain why end-user side prompt engineering is crucial specifically for chatgpt case [ RESPONSE ] End-user side prompt engineering is crucial for ChatGPT because it ensures that users can effectively c..

인공지능 2023.04.0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종류를 나열해 본다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종류를 나열해 본다면? 2023-03-23 전용준. 리비젼컨설팅 대표. 경영학 박사 챗GPT (#chatgpt) 붐으로 촉발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에 대한 관심들도 초기(2023년 3월 현재)이다 보니 많은 오해가 섞여 있다. 사실 정의는 단순하다. 생성형AI가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프롬프트를 만드는 작업. 더 좋은 결과란 무엇인가, 어떻게 바꾸는가 등으로 일을 나눌 수도 있고, 초기 챗GPT와 같은 텍스트만 처리하는 경우와 결과물이 이미지로 나오는 경우 등(midjourney, DALL-E 등) 유형에 따라 또 작업 내용과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초기 프롬프트를 수정해서 더 좋은 프롬프트로 변경하는 작업이 될 수 도 있다. 결국은 더 좋은..

인공지능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