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CRM

빅데이터

[빅 데이터] 솔루션 벤더들에게의 제언 : 비즈니스 인텔리젼스월드 2013 행사후기

YONG_X 2013. 4. 6. 19:02

[빅 데이터] 컨퍼런스에 참여하는 솔루션 벤더들에게의 제언 :

비즈니스 인텔리젼스월드 2013 행사 참관 후기

 

    -  전용준 리비젼컨설팅 대표 xyxonxyxon@empal.com

 

2013년 4월 5일 코엑스에서 600여명의 참석자가 운집한 가운데 성황리에 BI코리아 주최의 컨퍼런스가 열렸다. 아마도 빅 데이터를 본격 다루는 국내 컨퍼런스로는 규모가 최대일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고, 분명 빅 데이터가 최근 IT 최대의 이슈라는 것을 여실히 증명하는 자리였다.

(관련기사 보기 : http://www.bi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7739 )

 

종일 진행된 여러 세션에서는 주요 BI 벤더들의 다양한 솔루션에 대한 소개들이 이어지고 그안에 각각 다양한 조직에서의 빅 데이터와 관련된 사례들이 함께 전달되었다. 여느때와는 달리 행사에 오전부터 참석해 열심히 여러 새로운 소식들을 듣는데 시간을 보냈다.

 

 

개인적으로는 짧은 세션이지만 [빅 데이터 - 비즈니스 가치 창출의 조건] 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하는 시간도 포함되어 있었다. 내용을 간략히 소개한다면, 빅 데이터가 실제로 가치 창출까지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들 (주제, 데이터, PPT(사람, 프로세스, 기술) 등 세가지 영역의 9가지 주요 trap들로 집약해 이야기 했지만)이 만족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본격적인 점검을 하라는 주문이었다. 실행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이라고도 볼 수 있는 내용이었다. 말을 바꾸면 무조건 성공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이야기이기도 했다.

전체 세션의 구성을 보면 4개 트랙을 기본으로 짧게는 35분 분량 가량의 다양한 타픽들이 다수 다루어졌고 SAS, Oracle,Opera Solutions 등의 키노트가 있었다.

 

 

 
▲ 2013년 4월 5일 코엑스 컨벤션센터에서 BI코리아가 주최한 '2013 BI컨퍼런스'가 6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성황리 개막했다.

 

 

가장 눈에 띄고 기억에 남는 내용은 바로 오페라솔루션즈의 <시그널 허브> 개념과 사례에 대한 내용. 우리 기업에서라고 하지 않고 있는 내용이라고는 할 수 없는 부분들이 많았으나 사례들을 통해 여러 업종에서 빅 데이터의 처리가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과 모델링 중심의 고급분석을 거쳐서 실제 업무에 본격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모습을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해주었던 시간. 가장 큰 차이는 대규모로 분석이 수행되고 (큰 분석이 라는 점이 문제가 아니라 여러가지 분석이 한 기업내에서도 여러가지 업무영역에 걸쳐) 있다는 점과 대부분의 경우에 단순한 집계와 기초적 시각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알고리즘들을 적용한 고급분석들이 본격화되어 있었다는 점이었다.  꼭 온라인기업들이 아니라고 해도 이 처럼 방대한 양과 범위의 분석들을 실전에 적용하고 있다는 것은 그저 부럽기만 할 뿐이었다. 우리 기업들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한 것은 본격적으로 하지는 <않고> 있다는 점과 큰 비교가 되는 부분이었다.

 

 

(관련기사 보기:  http://news.nate.com/view/20130404n19551 )

 

 

다른 세션들은 대부분 솔루션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는데 눈에 띄는 부분이랄까 공통점이랄까 하는 부분들이 있었기에 짚어보고 싶다. 오페라솔루션즈가 전해주는 사례들과도 대조적이라 할 수 있는 점이겠지만 다른 벤더들은 가장 크게 강조한 것이 편하고 쉽고 사용자가 간단하게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물론 잘못된 것은 아니다. 비즈니스 현업 사용자들이 다양한 분석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은 분석의 확산과 보편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분명하니까.

 

그러나 문제는 오직 "편하고 쉽게"에만 촛점이 있었다는 것이다. 빅 데이터가 큰 가치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쉬운 분석을 여러 사람이 해야 되는 것이 아니라 매우 높은 품질의 분석을 해야 하는 것이라는 점이 간과되고 있었다고 본다.  높은 품질의 분석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수조건은 아닐지언정 어느 정도의 조건일 수 밖에 없는 것이 복잡함과 정교함이다. 이 때문에 고급의 분석은 다수의 현업사용자들이 쉽게 대중적으로 수행될 수 없다. 고급분석은 조직전체내에서 열명에서 오십명을 넘는 사람들이 담당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소수의 인력들이 양질의 분석결과를 생산하고 그 결과물을 전체 조직에게 공급할 수 있다. 마치 부피로는 전체 사람의 몸에서 극히 일부에 밖에 해당하지 않는 심장과도 같이. 이들 겨우 백명도 안되는 사람들의 분석을 위해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기 위해 조직의 역량을 집중한다는 것이 아직까지도 우리 조직들에게는 넌센스이고 그리 설득력이 없는 것일까?

 

 

주변의 참관자들의 지나는 이야기들을 우연히 듣다 보면 "쉽게 쓸수 있는 편한 소프트웨어"라는 설명과 그에 대한 데모에서 벗어나는 무언가 좀 더 매력적인 이야기를 원하는 목소리들이 많았다. 또 그냥 잘 검토하고 잘 선정해서 분석하라는 일반적인 구색갖추기식의 이야기가 아니라 "무엇을 분석하려면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되고, 어떤 내용을 분석해야 하고, 그래서 어떤 효과가 구체적으로 나온다"에 대한 세부사항을 듣고 싶어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간략한 참관기지만 후기를 통해 솔루션 벤더들에게 주문하고 싶은 부분은 크게 두가지이다. (물론 컨퍼런스 뿐 아니라 다른 마케팅 과정을 통해서도 같은 주문이 필요해 보인다. 다소 주제넘은 이야기인지도 모르겠지만 오디언스중 한사람으로, 또 BI가 빅 데이터의 핵심으로 제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는 사람으로, 진심은 담긴 이야기이다)

같은 솔루션이지만 단순히 편하다 이외에, 누구나 쓸수 있다 이외에, 어떤 <강력한 기능>을 통해서 보다 <양질의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것이 실질적으로 어떤 식으로 <비즈니스를 고도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해주었으면 하는 점이 첫번째 (이는 어쩌면 이전의 BI와 앞으로의 BI간의 중요한 구분 기준이 될지도 모른다).

그리고 두번째는 왜 이 솔루션을 적용해야하고 어떤 경우에 이 솔루션이 적합하다는 것을 명확하게 짚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직마다 상황도 업무도 환경도 천차만별일터인데 어디에나 사용가능하다는 이야기는 더 이상 믿어줄 사람들이 많지 않다. 모든 시장을 잡고자 하는 포석으로는 어떤 시장도 잡을 수 없다는 '시장세분화라는 (누구나 아는) 가르침'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어떤 강점이 있어서 어떤 형태나 내용의 업무 부분에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명확히 강조되려면 한편으로는 다른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적합하지 않을수도 있다는 점을 은연중에 인정해 주는 편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래야 특징이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빅 데이터와 관련된 컨퍼런스나 세미나는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행사들을 통해서 솔루션 벤더들이 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각각의 강점과 특징을 청중들이 듣고자하는 방향과 톤으로 전달해주기를 기대해 본다.

 

 - 끝 - 2013.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