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CRM

인공지능

초보자를 위한 챗GPT 프롬프트 작성법 123

YONG_X 2025. 4. 6. 12:29

초보자를 위한 챗GPT 프롬프트 작성법 123


ChatGPT를 사용하는 것이 쉬운 것 같으면서도 익숙하지 않으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마법 지팡이를 들고 있지만 설명서가 없는 것 같은 답답함을 느끼게도 된다. 그래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를 세가지 측면에서 생각해본다.

 

 

 

[1] 챗GPT 결과가 계속 나쁘게만 나오는 이유와 대책은?

많은 초보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AI를 사람처럼 대화 상대로만 생각하고, 원하는 작업이나 목적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 없이 막연한 질문만 던진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이거 어떻게 생각해?", "너라면 어떻게 할래?" 같은 질문은 사람 간의 대화에서는 자연스러울지 몰라도, AI에게는 너무 모호해서 정확한 답변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신 "이런 상황인데 이런 작전을 하면 효과가 클지 검토하라."와 같은 구체적이고 명확한 지시를 주는 것이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분명히 파악하고 양질의 결과물을 내는 데 도움을 준다.

두 번째로 많이 하는 실수는 이미 원하는 답을 정해놓고 AI에게 질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 방법이 맞지?" 또는 "이게 제일 좋은 방법이야, 그렇지?"라는 질문은 AI가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가 기대하는 방향으로만 답을 하도록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면 결과적으로 AI는 객관성이 떨어지고 편향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해진 답을 얻으려는 의도보다는 AI에게 다양한 접근법이나 관점을 제시하도록 요청하는 것이 훨씬 유익하다. 예를 들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비교해서 설명해줘."라고 요청하면 더 객관적이고 폭넓은 답변을 얻을 수 있다.

 

[2] 프레임워크를 활용한다면

좋은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데 있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무엇을 어떻게 집어 넣어서 프롬프트를 작성할 것인지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중 한가지 특히 유용한 방법이 바로 'WWh 프레임워크'다. WWh는 '왜(Why)', '무엇(What)', '어떻게(How)'의 약자다. 이 세 가지 질문만 기억하고 명확히 작성하면 원하는 결과를 더욱 쉽게 얻을 수 있다. '왜'는 문제의 배경이나 해결 필요성을 설명하여 AI가 사용자의 목적과 맥락을 충분히 이해하게 도와준다. '무엇'은 해결해야 하는 문제의 대상과 범위를 분명하게 제시하여 AI가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어떻게'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나 사용자가 선호하는 접근 방식을 전달하여, AI가 사용자의 기대에 더 정확히 맞춘 답을 제공하도록 만든다. 이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면 AI가 답변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답변의 방향을 AI에게 잘 전달할 수 있다.

 

[3] 문제를 먼저 분해하기

프롬프트를 작성하기 전에 문제를 세부적으로 분해하는 습관을 가지면 효과적이다. 복잡한 문제를 한번에 처리하려고 하면 오히려 프롬프트 작성이 막막해지기 쉽다. 또 챗GPT도 만족스러운 답을 주지 못한다. 그러나 문제를 작은 단위로 나누고 단계별로 해결 방법을 정의하면 각 부분에서 AI가 무엇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를 명확히 설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어떤 추가 데이터가 필요한지, 각 부분에 어떤 방식의 프롬프트를 별도로 제공할지 명확히 파악하게 되어, 보다 구체적이고 질 좋은 답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

 

문제를 분해해보면 필요한 부분과 버려야할 부분이 보일 것이다. 마치 사과를 잘랐을 때 씨와 상한 부분이 보이는 것 처럼

 

 

 

ChatGPT를 제대로 활용하는 비결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 세가지 "어렵지 않아서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참고하면 더 나은 프롬프트를 작성해서 더 나은 (완벽한 답을 보장하는 것은 절대 아니지만) 챗GPT 응답 결과를 얻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

 

#챗gpt #gpt #AI #챗gpt #AI활용
#전용준 #리비젼 #리비젼컨설팅 #promptstrategies

 

 

 

참고::

 

이 글은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책 중의 프롬프트 작성방법 부분을 보강 / Update하기 위한 내용입니다. 책에 대한 소개는 다음을 참고하세요 

https://revisioncrm.tistory.com/596

 

[책]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어떻게 다른가?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실전!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어떻게 다른 ChatGPT 책들과 다른가?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실전!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디지털

revisioncrm.tistory.com

 

 

 

 

[관련 영상]

 

문제를 먼저 분해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Gcqzo5XNii4&t=218s

 

 

간단한 프레임워크를 기억하고 활용한다면

https://www.youtube.com/watch?v=5z27-rPW3Do&t=144s

 

 

챗GPT 결과가 계속 나쁘게만 나오는 이유와 대책은?

https://www.youtube.com/watch?v=Rq1X05WimTQ&t=20s

 

 * by promptStrategies, 전용준. 리비젼컨설팅 https://revisioncrm.tistory.com/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