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CRM

인공지능 172

Enterprise급의 Generative AI implementation 프로젝트에서 prompt 표준화와 prompt 품질 관리를 구현하는 방법

Enterprise급의 Generative AI implementation 프로젝트에서 prompt 표준화와 prompt 품질 관리를 구현하는 방법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Enterprise급의 Generative AI implementation 프로젝트에서 prompt 표준화와 prompt 품질 관리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단계로 나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러한 단계를 설명하는 방법론입니다.1. 요구사항 정의 및 목표 설정목표 설정: Prompt 표준화와 품질 관리를 통해 얻고자 하는 구체적인 결과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일관된 품질의 응답 생성, 다양한 케이스에 대한 적응력 향상 등을 목표로 할 수 있습니다.사용 사례 식별: AI 시스템이 처리해야 할 주요 사용 사례와 시나리오를 정의합니다..

인공지능 2024.06.24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오해[1] - 복잡해야 한다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오해[1] - 복잡해야 한다  ChatGPT가 대중적인 인기를 끌면서 책도, 강연도, 논문도 많이 나오고 있다. 그 중 한 섹션은 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이다. 그러나 지금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야기들이 과연 다 맞는 말들일까? 대표적인 오해(Myth)들을 정리해보자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오해 Top 7 복잡할수록 더 나은 출력을 제공한다ChatGPT가 인간처럼 맥락을 이해한다ChatGPT가 각 상호작용에서 학습한다긴 프롬프트가 더 낫다AI가 복잡한 작업을 완전히 자동화할 수 있다전문 용어와 기술 용어 사용이 응답을 개선한다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기술 전문가만을 위한 것이다  대표적인 것들만 해도 7개나 되니 모두를..

인공지능 2024.06.20

ChatGPT가 실제 전문적 업무에 도움이 될까? 주관적 검토 (2024.6.17)

ChatGPT가 실제 전문적 업무에 도움이 될까?주관적 검토 (2024.6.17)ChatGPT 사용자가 한국에 3백만명 가량 된다는 조사 결과가 최근에 나왔다고는 하지만, 아마도 본격적으로 자신의 업무에 사용하는 사람은 그 중 1/10 정도나 될까? 결국 여전히 한국 인구의 1% 미만 정도가 본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모두들 들어 봤음에도 본격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아마도 그리 쓸모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은 아닐까?이 시점에서 현재의 ChatGPT가 얼마나 실제 내 업무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해서, 내 경우로만 한정해서, 100% 주관적인 검토를 해본다. (각자 하는 일이 다르므로 각자에게 다른 정도의 유용성이 있을 것이다.) 단, ChatGPT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므로, 이 내용은 2024...

인공지능 2024.06.17

[ HFDGAIA ] 패션 디자인 생성형 AI Lecture

[ HFDGAIA ] 패션 디자인 생성형 AI Lecture     강의 슬라이드     패션 커머스 : 유사 제품 교체 소프트웨어 Demo[ https://celusoft.net/ ]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HFDGAIA    ChatGPT 이미지 생성 기능을 사용한 모자 디자인 Examplehttps://www.youtube.com/watch?v=noOkoBYAer0&t=843s  모델 교체 예제 연습용 모델 이미지      * by promptStrategies, 전용준. 리비젼컨설팅 https://revisioncr..

인공지능 2024.06.13

CoT 프롬프트의 마법? Chain of Thought 적용 방법과 대상과 한계점

CoT 프롬프트의 마법? Chain of Thought 적용 방법과 대상과 한계점  대략 이야기하면 CoT(생각의 사슬) 방법은 풀어야 하는 문제를 분해하고 각 분해한 부분들을 연결시키는 방식을 명시적으로 지시해서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한 언어모델 사용 방법이다. 더 정확하고 체계적인 답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또 하나의 마법의 프롬프트 작성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런데 영 찜찜하다. 어떤 제한된 또는 특수한 상황에서나 유용하지 일반적인 비즈니스 문제 같은 경우에도 쓸모가 있는 것일까? 예를들어서 마케팅실무자가 ChatGPT를 사용하는데 Chain of Thought Prompt Engineering 방법을 사용한다면 실질적으로 크게 유용할까? 별로 쓸모없는거 아닐까? 차근 차근 짚어보자. ..

인공지능 2024.06.06

ChatGPT 역할 부여하기에 대한 착각 - 프롬프트 작성

ChatGPT 역할 부여하기에 대한 착각  ChatGPT에게 "너는 XXX야. XX를 해줘"라는 방식으로 역할을 지정해서 프롬프트를 작성하면 ChatGPT가 더 좋은 결과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 "act as a role"이라고 하는 이 방식을 사용하면 과연 더 좋은 응답이 나오게 될까?왜 이 방식을 사용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것인지, 과연 실제로 그런지, 아니면 우리가 무언가 착각을 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해 예제로 확인하면서 살펴보자.   우선 chatgpt에게 역할(persona)을 부여하는 프롬프트 작성 방식이란 무엇인가를 살펴보자 ChatGPT ::ChatGPT에게 역할(persona)을 부여하는 프롬프트 작성은 ChatGPT의 대화능력을 특정 상황이나 배경에 맞게 조정하는 데..

인공지능 2024.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