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CRM

인공지능

Panel of Experts(PoE) 프롬프팅 : 더 나은 ChatGPT 응답을 제공할까?

YONG_X 2024. 12. 1. 12:01

Panel of Experts(PoE) 프롬프팅 : 더 나은 ChatGPT 응답을 제공할까?

 

Panel of Experts(PoE) 프롬프팅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전문가가 토론하는 방식으로 AI 모델의 답변을 이끌어내는 기법이다. 이 기법은 다양한 전문가의 관점을 시뮬레이션해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안한다. 우선 Panel of Experts(PoE) 프롬프팅 기법에 대해 핵심을 짚어 보자.

 

(부록: 2024.12.6 정식 버전으로 등장한 o1모델과의 결과 비교)

 

A mosaic-style image depicting three expert AI robots engaged in a serious discussion on a critical topic. The image is constructed of multiple three-dimensional cubes set at various planes, creating a disjointed three-dimensional effect. The cubes are rendered in natural, metallic colors, showcasing a futuristic yet artistic design. The composition emphasizes depth and geometry, with intricate details of the cubes forming the robots' facial features and bodies. The scene is wide and features the robots positioned around a futuristic table with holographic elements, with a dramatic interplay of light and shadows to enhance the mosaic effect.

 

 

핵심 요소

  1. 전문가 패널 시뮬레이션: 모델이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전문가 역할을 수행한다.
  2. 다양한 관점 제공: 각 전문가가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 문제의 균형 잡힌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3. 결과 통합: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견을 종합해 하나의 통합된 답변을 도출한다.

장점

  • 신뢰도 향상: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면서 오류 가능성을 줄인다.
  • 안전성 강화: 다양한 시각이 편향과 위험 요소를 사전에 확인하고 제거한다.
  • 정보 풍부화: 깊이 있는 분석으로 더 유용한 답변을 제공한다.

적용 사례 PoE는 복잡한 문제 해결, 의사결정, 윤리적 판단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하다. 특히 진실성과 정확성이 중요한 질문에 효과적이다.

관련 기법

  • ExpertPrompting: AI가 특정 전문가의 관점에서 답변하도록 설정한다.
  • Multi-Expert Prompting: 여러 전문가의 답변을 생성하고 이를 비교·통합해 최적의 답변을 선택한다.

PoE 프롬프팅은 모델의 사고력을 강화하고, 답변 품질을 높이는 데 유용한 기법이다.

 

 

>>  이번에는 이 기법이 과연 더 나은 답변을 제공해주는지 테스트 해보자. 연습 문제는 많이 팔린 책좋은 책의 차이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이 연습 문제를 풀기 위한 프롬프트는 총 3개의 연결된 프롬프트로 구성되어 있다. 직접적으로 PoE라는 용어를 언급하는 대신 그 방식을 프롬프트에 녹여서 구현해 본다.

 

A mosaic-style image of a writer deeply immersed in thought, contemplating ideas for a great book. The image is constructed of multiple three-dimensional cubes set at various planes, creating a disjointed three-dimensional effect. The cubes are rendered in natural colors, blending warm earthy tones with subtle metallic highlights, showcasing a futuristic yet artistic design. The writer's facial features, hands holding a pen, and an open notebook on a desk are intricately formed by the cubes. The wide composition emphasizes depth and geometry, with a serene, moody lighting enhancing the contemplative atmosphere.

 

Prompt 1::
한국에서 2024년 출간된 비즈니스 분야 책들에 대해 조사한 후 가장 많이 팔린 책 5개와 가장 좋은 책(단순한 독자 평가가 아닌 책이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가치 기준으로) 5개를 선정하라.

 

ChatGPT Response::

2024년 한국에서 출간된 비즈니스 분야 도서 중 판매량과 사회적 가치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책들이 선정되었습니다.

가장 많이 팔린 책 5권:

  1. 트렌드 코리아 2024
    2024년 대한민국의 소비 트렌드를 전망한 이 책은 독자들의 큰 관심을 받으며 3주 연속 베스트셀러 1위를 기록했습니다.
  2. 2024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
    KOTRA에서 발간한 이 책은 전 세계 84개국의 최신 트렌드를 소개하며, 국내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3.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미래 개인의 생존 전략을 모색한 이 책은 독자들의 주목을 받으며 베스트셀러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4. 머니 트렌드 2024
    2024년 한국 경제의 자금 흐름을 분석한 이 책은 독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베스트셀러 순위에 올랐습니다.
  5. 불변의 법칙
    절대 변하지 않는 것들에 대한 23가지 이야기를 담은 이 책은 경제 경영 분야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사회적 가치가 높은 책 5권:

  1. 대한민국, 선진국의 조건
    한국 사회를 자유의 관점으로 이해하게 도와주는 이 책은 정치 및 경제 분야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2. 자유를 통한 한국경제 읽기
    자유주의적 시각에서 한국 경제를 분석한 이 책은 사회적 가치가 높은 도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 경제기사를 읽어야 경제가 보인다
    경제 기사를 통해 경제를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이 책은 독자들에게 경제적 통찰을 제공합니다.
  4. 경제에 관해 생각하는 방법: 입문
    경제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방식을 안내하는 이 책은 사회적 가치가 높은 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5. 경제 읽어주는 남자의 15분 경제 특강
    짧은 시간 안에 경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이 책은 독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도서들은 2024년 한국 비즈니스 분야에서 독자들의 관심과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은 작품들입니다.


Prompt 2::
이 책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좋은 책을 쓰는 방법에 대해 세명의 도서 평론 전문가의 토론 방식으로 각자 돌아가면서 5회 반복해서 의견을 제안하거나 다른 전문가의 의견에 대한 수정안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으로 진행한 후 최종 결과를 종합해서 핵심 포인트 세가지를 설명하라

 

ChatGPT Response::

전문가 토론: 좋은 책을 쓰는 방법

전문가 A: 시작하는 관점 - 독자의 니즈 충족

"좋은 책은 독자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독자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통찰을 제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트렌드 코리아 2024는 매년 독자들이 기대하는 트렌드 분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며 성공했습니다."

전문가 B: 관점을 확장 - 심층적이고 독창적인 콘텐츠

"A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더 나아가, 좋은 책은 심층적이고 독창적인 콘텐츠를 통해 차별성을 가져야 합니다. 단순히 정보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머니 트렌드 2024처럼 트렌드와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행 가능한 통찰을 제시해야 합니다."

전문가 C: 관점을 보완 - 사회적 기여와 윤리적 메시지

"좋은 책은 독창성과 독자의 니즈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담아야 합니다. 예컨대, 대한민국, 선진국의 조건처럼 사회적 문제를 다루거나, 지속 가능한 방향성을 제안해야 책의 영향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2라운드: 의견 보완 및 수정

전문가 A: 콘텐츠 설계 강화

"B와 C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이를 보완하려면 책의 구조가 체계적이고, 각 장마다 명확한 메시지가 있어야 합니다. 독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고, 읽기 편하도록 디자인해야 합니다."

전문가 B: 독자의 참여 유도

"A의 의견을 확장해, 독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을 추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연습 문제나 사례 연구, 혹은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추가해 독자가 배우는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전문가 C: 글로벌 및 현지화 전략

"B의 독자 참여 제안을 발전시켜, 글로벌 트렌드를 다루면서도 한국 독자들에게 맞는 현지화된 콘텐츠를 추가해야 합니다. 2024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가 성공한 이유도 이러한 현지화 때문입니다."


3라운드: 실행 전략 제안

전문가 A: 데이터와 사례의 균형

"좋은 책은 데이터와 사례를 적절히 결합해야 합니다. 너무 많은 데이터는 독자를 지루하게 만들고, 사례가 부족하면 신뢰성을 잃을 수 있습니다. 적절한 균형이 필요합니다."

전문가 B: 스토리텔링 기법

"A의 의견에 따라, 사례는 단순히 정보 전달이 아니라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엮어져야 합니다. 독자가 감정적으로 공감하고 기억할 수 있는 방식이 중요합니다."

전문가 C: 접근성 있는 언어

"좋은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려면 언어도 중요합니다. 전문적인 주제를 다루더라도, 지나치게 복잡한 용어를 피하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친숙한 언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4라운드: 피드백 및 개선

전문가 A: 지속적인 가치 제공

"B와 C의 접근성을 강조한 의견에 동의합니다. 여기에 더해, 책이 출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체크리스트나 참고 자료를 통해 독자가 책을 여러 번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전문가 B: 독자 커뮤니티 형성

"A의 의견을 확장하면, 책을 중심으로 독자들이 교류하고 성장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책을 단순한 콘텐츠가 아니라 지속적인 경험의 일부로 느끼게 됩니다."

전문가 C: 출간 후 마케팅 전략

"B의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려면 책의 마케팅 전략도 중요합니다. 출간 후 세미나, 강연, 온라인 이벤트 등을 통해 책의 메시지를 널리 알릴 수 있어야 합니다."


5라운드: 최종 논의

전문가 A: 실행 가능한 가이드라인

"책은 단순히 정보 제공에 그치지 않고, 독자가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것이 독자가 책을 구매하는 주요 이유가 됩니다."

전문가 B: 감성적 스토리와 논리적 설득의 조화

"A의 의견에 덧붙여,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감성적인 스토리와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콘텐츠가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전문가 C: 지속 가능한 비전 제시

"좋은 책은 독자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기여하는 지속 가능한 비전을 제시해야 합니다. 이는 책의 가치를 높이고, 더 많은 독자를 끌어들일 것입니다."


최종 핵심 포인트 3가지

  1. 독자 중심의 실질적 가치 제공
    독자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실행 가능한 통찰과 가이드를 제공해야 한다. 체계적이고 접근성 있는 설계가 중요하다.
  2. 스토리텔링과 데이터의 균형
    논리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와 독자의 공감을 끌어내는 감성적 스토리텔링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3. 사회적 가치와 지속 가능성
    단순히 독자 개인의 이익을 넘어, 사회적 기여와 장기적인 비전을 담아야 한다. 이는 책의 영향력과 지속성을 강화한다.

 

>>  ChatGPT는 라운드를 구분하면서 반복적인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각 단계에서는 지적과 수정 등이 드러난다. 단계가 진행될 수록 다듬어지는 모습이 보인다.

 

 

 

Prompt 3::
최종 핵심 포인트 3가지를 기준으로 다시 가장 좋은 책 5권을 선정해 순서대로 제공하라

 

ChatGPT Response::

최종 핵심 포인트 기준으로 선정한 2024년 한국 비즈니스 분야 최고의 책 5권

  1. 트렌드 코리아 2024
    이유: 독자의 실질적 니즈를 충족하고, 체계적이고 명확한 트렌드 분석을 제공한다. 데이터와 스토리텔링이 조화를 이루며, 개인과 기업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가이드를 제시한다.
  2. 대한민국, 선진국의 조건
    이유: 한국 사회와 경제 전반에 대해 지속 가능한 비전을 제시한다. 독자 개인의 성장뿐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발전과 기여를 강조하며, 사회적 가치가 높다.
  3. 2024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
    이유: 글로벌 트렌드와 현지화된 통찰을 통해 독자들에게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 중심의 분석과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이 돋보인다.
  4. 돈의 심리학
    이유: 재무적 의사결정에 있어 독자의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데이터 기반의 논리적 설득과 사례 중심의 스토리텔링이 훌륭하며, 독자가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한다.
  5. 가난한 찰리의 연감
    이유: 찰리 멍거의 통찰과 경험을 통해 독자들이 삶과 비즈니스의 원칙을 재정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기적인 비전과 철학적 깊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가치를 전달한다.

선정 기준 적용 요약:

  • 실질적 가치 제공: 각 책은 독자에게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가이드를 제시한다.
  • 스토리텔링과 데이터의 균형: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구성한다.
  • 사회적 가치와 지속 가능성: 독자 개인뿐 아니라 사회 전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전과 방향성을 제시한다.

 

 

>> 자 과연 PoE 기법을 활용한 결과 좋은 책이란 무엇인가, 어떤 책이 좋은 책인가에 대해 ChatGPT가 더 나은 답변을 한 것은 맞는 것일까? (판단은 각자의 몫이다.) 여하간, PoE 이 기법을 사용하는데 어떤 부분을 조심해야할 것인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anel of Experts(PoE) 프롬프팅의 문제점과 주의사항

문제점

  1. 전문성 한계: AI 모델이 실제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특정 분야에서 깊이 있는 전문성을 제대로 재현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잘못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답변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2. 편향 가능성: 다양한 전문가 관점을 시뮬레이션한다고 하지만, 모델의 학습 데이터에 내재된 편향이 그대로 반영될 수 있다.
  3. 복잡성 증가: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는 과정에서 답변이 지나치게 복잡해지거나 모호해질 위험이 있다.
  4. 해석 어려움: 종합된 결과가 명확하지 않거나 다소 추상적일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실질적인 유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5. 리소스 소모: 다수의 관점을 생성하고 통합하는 과정은 계산 자원이 많이 소모될 수 있다.

주의사항

  1. 명확한 전문가 정의: 모델이 시뮬레이션할 각 전문가의 역할과 범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비효율적이고 혼란스러운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2. 질문 설계 최적화: 질문이 모호하거나 지나치게 포괄적일 경우, PoE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이고 명료한 질문이 필요하다.
  3. 결과 검증: AI가 생성한 전문가 의견과 종합된 결과를 반드시 검증해 오류나 편향을 확인해야 한다.
  4. 과도한 의존 방지: PoE 기법이 유용하지만, 이를 무조건적으로 신뢰하면 실제 전문가의 의견과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5. 간결한 통합: 여러 의견을 통합할 때 핵심 정보를 유지하면서도 불필요한 복잡성을 배제해야 한다.

PoE 기법은 강력한 도구이지만, 적절히 설계하고 검증하지 않으면 오히려 신뢰성과 효율성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 부록: 논리적 추론에 최적화된 o1 모델과 ChatGPT 4o에 PoE를 적용한 경우의 결과 비교 )-------------

 

Prompt 1::
한국에서 2024년 출간된 비즈니스 분야 책들에 대해 조사한 후 가장 많이 팔린 책 5개와 가장 좋은 책(단순한 독자 평가가 아닌 책이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가치 기준으로) 5개를 선정하라.

 

<ChatGPT o1>
8초 동안 Thought about 2024년 한국 비즈니스 책

 

아래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예시입니다. 실제 판매량 및 사회적 기여도는 2024년 현재 정식으로 집계되거나 확인된 자료가 없기 때문에, 국내 주요 서점 판매 랭킹과 언론 및 학계 평가를 종합한 가상의 결과임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2024년 한국 비즈니스 분야 베스트셀러 Top 5
(주요 온라인 서점 종합 집계, 출판사 발표, 경제 전문지 언급 등을 토대로 가상 선정)

  1. 「AI 경영혁신: 데이터로 그리는 신사업 지형도」 (김동현 저)
    • 내용: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사업 모델 구축, 효율적 의사결정 프로세스 도입 방법론 소개.
    • 특징: 주요 대기업 및 스타트업 임원들이 업무 참고서로 활용하며 초반부터 빠르게 판매량 상승.
  2. 「부의 성장 로드맵: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투자 전략」 (박소영 저)
    • 내용: 30-40대 개인 투자자 및 MZ세대 대상 재테크 전략, ETF나 대체투자 등 새로운 자산군 활용 방안 제안.
    • 특징: 금융 유튜버 및 팟캐스트에서 화제가 되며 2024년 상반기 재테크 분야 스테디셀러로 부상.
  3. 「로컬에서 글로벌로: K-브랜드 성공 모델」 (이정훈 저)
    • 내용: 국내 중소기업이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과정의 전략적 노하우, K브랜드 가치 확립 사례 분석.
    • 특징: 수출입 관련 전문기관 추천, 무역협회 및 중소기업진흥공단 프로그램 교재로 사용.
  4. 「지속가능한 기업가정신: ESG로 경영하라」 (김민지 저)
    • 내용: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실제 적용 사례, 지속가능성 기준을 바탕으로 한 기업 전략 제안.
    • 특징: 기업 인사/전략 부서 실무진들이 많이 참고하며 ESG 관련 정부정책 보조자료로 언급.
  5. 「메타버스 시대의 마케팅 전략」 (정윤호 저)
    • 내용: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경험 디자인, 가상공간 내 소비자 참여 전략.
    • 특징: 광고/마케팅 대행사 및 대기업 홍보팀에서 필독서로 언급되며 IT전문 매체에서 다수 리뷰.

2024년 한국 비즈니스 분야 사회적 기여도 기준 우수 도서 Top 5
(단순 판매량이 아닌, 학계 평가·NGO 언급·정부기관 및 공공정책 참고 여부 종합)

  1. 「지속 가능한 미래, 기업의 역할」 (유상민 저)
    • 내용: 기후 변화, 불평등, 자원 고갈 등 글로벌 이슈 속에서 기업이 수행해야 할 역할과 책임 경영 모델 제시.
    • 가치: 다수의 비영리 환경단체와 사회적경제 연구소가 참조, 대학의 CSR 관련 강의 교재로 활용.
  2. 「지역 경제 되살리기: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전략」 (최은주 저)
    • 내용: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설립과 운영 전략 분석, 국내외 성공 사례 소개.
    • 가치: 지방자치단체, 지역NGO가 공공정책 수립 시 참고, 지역경제 활성화 공모전·워크숍에서 다수 인용.
  3. 「여성 리더십을 키우는 비즈니스 구조」 (한지혜 저)
    • 내용: 기업 내 유리천장 해소, 다양성과 포용성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방안 제시, 여성 리더십 육성 프로그램 사례 소개.
    • 가치: 여성기업가연합회, 정부 양성평등부처, 대기업 다양성 위원회 등에서 적극 추천.
  4. 「공정 무역과 윤리적 소비자: 비즈니스의 패러다임 전환」 (이선호 저)
    • 내용: 글로벌 공급망상의 착취 문제, 공정 무역 인증 제도, 윤리적 소비 확산을 통한 기업 지속가능성 강화 방안.
    • 가치: 국제개발 NGO, 공정무역 관련 기관 및 시민단체에서 교육자료로 활용, 윤리경영 가이드북으로 참고.
  5. 「노동 가치 재발견: 임금, 복지, 그리고 기업문화」 (박지현 저)
    • 내용: 일자리 질 개선, 공정한 임금체계, 양질의 복지제도, 상생적 기업문화를 통한 기업 생산성 제고 방안.
    • 가치: 노동연구소, 노동조합, 사회정책 연구기관에서 연구자료로 주목, 사회정의와 경제발전의 균형을 강조.

위의 리스트는 가상의 시나리오로 구성하였으며, 2024년 한 해 동안 비즈니스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고 가정한 작품들입니다. 베스트셀러 5권은 주로 판매량과 대중적 인기, 실용적 경영 전략 및 투자 팁을 제공한 반면, 사회적 기여도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평가된 5권은 기업과 사회의 상생, 지속가능성, 포용성과 공정성을 강조하며 공공정책 수립, 교육 커리큘럼, 시민사회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어 사회에 긍정적 가치를 더한 책들로 선정하였습니다.

 

 

>> 일단, 프롬프트를 따르지 않았다. 조사 기능을 지시했으나 검색을 통한 조사 대신 가상의 시나리오를 제공했다. 실전용으로는 심각한 문제다. 기업의 업무용으로 생각해보면, 사실과 최근 상황에 대한 맥락 파악은 절대적인 조건이다. 매우 심각하다. 다만 이런 부분은 이미 다른 모델에 검색기능을 포함시킨 상황이니 쉽게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고려해주어야할 것이다.

 

 

Prompt 2::
이 책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좋은 책을 쓰는 방법에 대해 세명의 도서 평론 전문가의 토론 방식으로 각자 돌아가면서 5회 반복해서 의견을 제안하거나 다른 전문가의 의견에 대한 수정안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으로 진행한 후 최종 결과를 종합해서 핵심 포인트 세가지를 설명하라

 

<ChatGPT o1>

1초 동안 Thought about writing a great book

아래 대화는 가상의 3명의 도서 평론 전문가(‘A’, ‘B’, ‘C’)가 앞서 제시된 2024년 비즈니스 도서 사례를 참고하여 "어떻게 좋은 책을 쓸 것인가"에 대해 토론하는 장면을 연출한 것이다. 이들은 총 5회에 걸쳐 돌아가며 의견을 제안하거나 다른 전문가의 의견을 보완·수정하는 식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된 결론에 도달한다. 마지막에는 핵심 포인트 세 가지를 종합 정리하였다.


1차 라운드
A: 이번에 선정된 베스트셀러와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책들을 보니, 첫 번째로 중요한 점은 "명확한 대상 독자를 염두에 두고, 해당 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 전략과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성공한 책들 모두 특정 독자군(스타트업 경영자, MZ세대 투자자, 기업 실무자 등)을 타겟으로 하여, 그들이 당장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노하우를 제시했죠.

B: 맞습니다. 여기에 덧붙이자면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주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단순한 트렌드 쫓기가 아니라 ESG, 협동조합, 여성 리더십 등 사회구성원들이 당면하고 있는 과제를 해결하거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책이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어요.

C: 두 분 의견에 공감합니다. 여기에 더해서 "글의 구조나 서술 방식"도 강조하고 싶습니다. 심층 인터뷰, 해외 성공 사례, 국내 적용 방안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조화롭게 배치해 독자가 이해하기 쉽고 논리적으로 전개되는 서술 방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2차 라운드
A: 제가 방금 한 의견에 조금 더 구체적인 예를 들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AI 경영혁신 관련 책에서는 단순히 'AI가 중요하다'고 말하는 대신, 'AI를 어떤 산업에,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실제 기업 인터뷰나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설득력 있게 보여주는 게 독자의 관심과 신뢰를 얻습니다.

B: 맞습니다. 또한 ESG 경영 같은 화두가 등장한 책은 단순히 개념 설명에 머물지 않고, '이러한 방향성이 기업 신뢰도, 고객 만족, 장기적 수익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객관적인 지표나 조사 데이터를 제공해야 합니다. 즉, "수치나 연구 결과를 활용해 메시지에 무게감을 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C: 지금까지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조금 더 포괄적인 시각을 제안하자면, "전문성과 스토리텔링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독자가 진지한 정보를 찾을 때는 전문성을 원하지만, 이를 단순 나열로 끝내면 읽기 어렵습니다. 적절한 사례, 개인 경험담, 브랜드 스토리 등을 섞어 독자를 몰입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3차 라운드
A: 그렇다면 "독자 맞춤형 실용성" 외에 또 무엇을 보완할 수 있을까요? 앞서 언급한 사회적 기여도 높은 책들을 보면, 독자가 책을 읽은 후 실제로 자신의 업무나 생활에 반영할 수 있도록 가이드나 체크리스트를 제공한 경우가 있습니다. 즉, "행동지향적 가이드라인" 제공이 또 한 포인트입니다.

B: 동의합니다. 또한 이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려면, 책을 읽는 독자가 스스로 생각을 확장할 수 있는 질문이나 연습문제, 혹은 추가 참고자료 목록을 제안할 수 있겠죠. 지식 전달에 그치지 않고 '독자의 사고력을 확장'시키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C: 구체적인 액션 아이템이나 사고 확장 장치 외에도 "자료 검증의 신뢰성"을 더 강조하고 싶습니다. 제대로 된 출처나 인증된 통계, 전문가 인터뷰 등 신뢰할 만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책의 전체적 품질과 공신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독자로 하여금 이 책이 단순히 주장만 하는 게 아니라, 근거 기반의 주장을 펼치는 것이라는 믿음을 줍니다.


4차 라운드
A: 지금까지 나온 의견을 종합하면, '독자 지향성, 사회적 가치, 전문성-스토리텔링 균형, 행동가능한 가이드, 사고 확장 장치, 신뢰성 확보' 등이 핵심이네요. 여기에 제가 추가하고 싶은 한 가지는, "유연한 업데이트 가능성"입니다. 즉, 비즈니스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책의 내용을 시대 흐름에 맞게 쉽게 개정하거나 독자의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는 장치를(예: 온라인 자료실, 저자 홈페이지 Q&A) 둘 필요가 있습니다.

B: 좋아요, 업데이트 가능성은 특히 지금 같은 빠른 변화의 시대에 유용한 아이디어군요. 한편, "디자인과 편집의 측면"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가독성을 높이고 핵심 메시지를 강조하는 그래픽, 도표, 핵심 정리 박스를 활용하면 독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책의 가치를 더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C: 디자인 부분에 동의합니다. 또한 그 디자인은 단순히 미적 감각 이상으로, 독자가 책을 읽는 흐름을 가이드해야 합니다. 챕터 구분, 인덱스, 찾아보기, 서머리 섹션 등 '독자 편의성'을 높이는 편집 요소가 궁극적으로 책의 품질을 좌우합니다.


5차 라운드
A: 결론적으로, 좋은 책을 쓰려면 '명확한 대상 독자 설정', '사회적 의의와 전문성의 균형', '스토리텔링을 통한 몰입감', '행동 가능한 가이드라인 제공', '충실한 자료 검증', '지속적 개선 가능성', '디자인 및 편집을 통한 독자 편의성'까지 종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B: 여기서 가장 핵심적인 세 가지를 꼽자면, 저는 "독자에게 실질적 가치를 주는 내용", "신뢰 기반의 근거 제시", "사회적 의미를 담은 주제 선택"을 들고 싶습니다. 이 세 가지가 있다면, 나머지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뒤따라갈 것입니다.

C: 동의합니다. 추가로 정리하자면, 결국 독자에게 유용하고 믿을 만하며, 더 나아가 사회적으로도 의미 있는 메시지를 담은 책이 좋은 책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겠네요. 디자인이나 편집, 스토리텔링은 그 핵심 메시지를 더욱 독자친화적으로 만드는 도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종 핵심 포인트 세 가지

  1. 독자에게 실질적인 가치와 활용 가능성 제공: 명확한 타깃 독자를 설정하고, 실제 업무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 가이드, 체크리스트 등 행동지향적 콘텐츠를 담는다.
  2. 신뢰성 있는 자료와 전문성 기반: 검증된 통계, 전문가 인터뷰, 국제적 사례 분석 등 탄탄한 근거를 바탕으로 설득력을 높이고, 독자의 신뢰를 확보한다.
  3.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주제와 방향성: ESG, 공정무역, 다양성과 포용성, 지속가능성 같은 사회적 의제나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를 책의 핵심 메시지로 삼아, 단순한 개인 이익을 넘어선 공익적 의미를 전달한다.

 

>> o1의 결과는 문체부터 다르다. 억지로 시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식 존대말이 사라졌다. 더 나은 결과가 나온 것인지 판단은 어려워 보이기는 한다. 하지만, o1에도 (논리적 추론은 알아서 잘한다고 했으나, 그럼에도) PoE를 추가로 적용할 가치가 있지 않을지를 고민하게 된다.

 

 

Prompt 3::
최종 핵심 포인트 3가지를 기준으로 다시 가장 좋은 책 5권을 선정해 순서대로 제공하라

 

<ChatGPT o1>

19초 동안 Thought about best books criteria

아래는 앞서 제시된 비즈니스 분야 책들 중, 최종적으로 도출된 핵심 포인트 3가지(1. 독자 중심의 실용적 가치 제공, 2. 사회적 의미 및 신뢰성 확보, 3. 스토리텔링 및 편의성 강화)를 기준으로 다시 선정한 "가장 좋은 책" 5권이다. 순서는 종합적 평가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1. 「지속 가능한 미래, 기업의 역할」 (유상민 저)
    • 독자 중심 실용성: 기업 의사결정자와 CSR 담당자가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전략과 정책 방향 제시
    • 사회적 의미 및 신뢰성: 기후변화, 불평등, 자원관리 등 국제적으로 검증된 이슈를 바탕으로 신뢰성 높은 통계 및 기관 보고서 인용
    • 스토리텔링 및 편의성: 글로벌 기업 사례, 국제기구 협업 모델 등 다채로운 사례 구성으로 독자 이해도 제고
  2. 「지속가능한 기업가정신: ESG로 경영하라」 (김민지 저)
    • 독자 중심 실용성: ESG 경영 실무자를 위한 구체적 실행 가이드, 평가 지표 및 체크리스트 수록
    • 사회적 의미 및 신뢰성: ESG(환경·사회·지배구조)라는 사회적 가치 지향적 프레임을 제시하며 국제 규범과 표준 인용
    • 스토리텔링 및 편의성: 국내외 기업 인터뷰, ESG 도입 전후 변화 스토리 등을 통해 독자 몰입 강화
  3. 「공정 무역과 윤리적 소비자: 비즈니스의 패러다임 전환」 (이선호 저)
    • 독자 중심 실용성: 공정무역 인증 프로세스, 공급망 관리 가이드,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전략 등 실천방안 제공
    • 사회적 의미 및 신뢰성: 공정무역 국제기구 자료, 각국 정책 사례, 연구 결과 제시로 신뢰도 확보
    • 스토리텔링 및 편의성: 생산자·소비자·기업 모두의 관점에서 전개되는 이야기 구조로 쉽게 공감 가능
  4. 「지역 경제 되살리기: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전략」 (최은주 저)
    • 독자 중심 실용성: 협동조합 설립 단계별 안내, 지역 파트너십 구축 사례, 정책 활용법 등 구체적 실천 로드맵
    • 사회적 의미 및 신뢰성: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기업 지원 기관의 자료 활용, 성공 모델 분석 통한 신뢰성 확보
    • 스토리텔링 및 편의성: 지역공동체 스토리, 실제 협동조합 운영자 인터뷰, 쉬운 용어 설명으로 접근성 강화
  5. 「여성 리더십을 키우는 비즈니스 구조」 (한지혜 저)
    • 독자 중심 실용성: 여성 리더십 프로그램 설계 가이드, 다양성 정책 수립 방법, 인재육성 전략 제시
    • 사회적 의미 및 신뢰성: 양성평등 관련 국제 지표, 여성 임원 확대 프로그램 성과 데이터 인용으로 신뢰 확보
    • 스토리텔링 및 편의성: 성공한 여성 리더들의 성장 스토리, 인터뷰, 실제 기업 케이스 연구로 독자 몰입 유도

위 다섯 권은 독자에게 즉각적으로 활용 가능한 실용적 조언을 제공하면서도,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가치와 신뢰성 있는 근거를 갖추고 있으며, 스토리텔링과 독자 친화적 구성을 통해 이해와 몰입을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좋은 책"의 기준을 가장 잘 충족하는 사례로 선정되었다.

 

 

>> 다시 조사하라고 해봐야 소용이 없다. 논리적 추론이전에 사실 기반으로 검토하는 능력이 없으니 더 비교가 어렵다. 이슈가 제기될 것이 뻔하고, 조만간 이 부분은 손을 보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이번 프롬프트에서는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생각했지만, 최종 결과라는 측면에서는 더 잘 정리한 것인지 판단하기 그리 쉽지는 않아 보인다. 이 역시 피드백을 바탕으로 개선하려고 하지 않을까 싶다.

참고로, 교보문고 사이트에서의 답은 다음과 같다.

' 지속 가능한 미래, 기업의 역할 ' 상품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챗gpt #gpt #AI #챗gpt #AI활용
#전용준 #리비젼 #리비젼컨설팅 #promptstrategies

 

 

 

 

 

참고::

 

이 글은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책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섹션을 보강 Update하기 위한 내용입니다. 책에 대한 소개는 다음을 참고하세요 

https://revisioncrm.tistory.com/596

 

[책]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어떻게 다른가?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실전!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어떻게 다른 ChatGPT 책들과 다른가?    "디지털 마케터의 챗GPT 활용 전략: 실전!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디지털

revisioncrm.tistory.com

 

[관련글] 비즈니스 상황에서 CoT, ToT와 같은 고급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가치에 대한 검토

https://revisioncrm.tistory.com/697

 

[ChatGPT] 비지니스 상황에서 CoT, ToT가 실효성이 있을까?

[ChatGPT] 비지니스 상황에서 CoT, ToT가 실효성이 있을까? 챗GPT와 같은 언어모델기반의 생성형AI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잘 다듬어진 프롬

revisioncrm.tistory.com

 

글에 대한 비평 :: 

"이 글은 고급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의 한계를 현실적인 비즈니스 환경에서 잘 지적하고 있다. 특히, 정보의 불완전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복잡한 기법이 오히려 부정확한 결론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은 중요한 통찰이다. 또한, 단순한 접근 방식의 효용성을 강조하며, 비즈니스 의사결정에서의 실용성을 부각한 점도 긍정적이다.

그러나, 고급 기법의 적용이 항상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의 질이 확보된 환경에서는 CoT와 ToT가 더 깊이 있는 분석과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들의 적용 여부는 상황과 환경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을 잘 짚어주고 있으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의 선택에 있어 현실적인 접근을 제안하고 있다."

 

 

[관련글]

AI언어모델 발전으로 인해  추론의 정밀도가 높아진 모델도 등장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기존에 중요시 되어온 PoE, CoT, 스텝바이스텝과 같은 '트릭' 중심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에 변화가 생길까?

 

https://revisioncrm.tistory.com/705

 

AI 언어모델 발전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변화

AI 언어모델 발전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변화  최근 AI 언어모델의 기능이 크게 발전하고 추론의 정밀도가 높아진 모델도 등장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기존에 중요시 되어온 프롬

revisioncrm.tistory.com

 

 

 

[관련영상] 답이 마음에 안들면 반복해서 시키면 더 나은 답변을 줄까?

https://www.youtube.com/watch?v=-kadatIIZYY&t=3s

 

 

[관련영상] ChatGPT의 비판 능력 활용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gniofGGhJKY&t=56s

 

 

 

[관련영상] 답을 찾지 못할 것 같다면 못찾겠다고 미리 이야기하도록 한다면?

https://www.youtube.com/watch?v=qN7zGW4m_bc&t=405s

 

 

 

* by promptStrategies, 전용준. 리비젼컨설팅 https://revisioncrm.tistory.com/182 

+82-2-415-7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