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ON CRM

프롬프트 78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초 - 제한 사항을 명시하기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초 - 제한 사항을 명시하기 무엇을 원하는지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ChatGPT에게 전달하는가가 중요하다. 하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을 생각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다. 바로 무엇을 답에 포함하지 말라고 지시하는 것, 즉 제한 사항(Constraint)을 명시하는 것.매우 간단해 보이지만 이 것을 잘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방법은 간단하다. "무엇 무엇을 제외하라" 라는 문장을 추가하는 것이다.    "제한 사항을 명시하세요"는 ChatGPT와 같은 AI와의 상호작용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중요한 전략입니다. 이 접근 방식이 왜 효과적인지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 명확성과 관련성 증가사용자가 특정 정보나 자료를 제외하도록 ..

인공지능 2024.04.11

ChatGPT의 현재는 언제일까?

ChatGPT의 현재는 언제일까? ChatGPT는 대체 언제를 현재라고 여기고 답변하는 것일까? 단순히 날씨 변화 정도 뿐만 아니라 많은 환경변화가 매우 빠르게 벌어지는 최근 상황에서는 시점이 언제이고 기간이 언제인지가 매우 중요한 변수일 수 밖에 없다. 시점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밖에 없는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 ChatGPT의 도움을 얻고자 한다면 "ChatGPT의 시점"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시점 확인을 위한 가장 간단한 예제를 시도해 본다. 바로 오늘의 날씨. 의미가 없다. 서울 자체를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 때문이다. 그렇다면 세계적인 도시를 가지고 테스트 해보자. 시카고에 대해서는 답이 나왔다. 나오기는 했으나 이 답이 정확한 것인지 구글에서 검색해보자. ChatGPT의 답은 44~..

인공지능 2024.04.09

step by step 프롬프트의 마법? - ChatGPT 프롬프트 팩트체크

step by step 프롬프트의 마법? - ChatGPT 프롬프트 팩트체크 "step-by-step" 또는 "Let's think step by step."이라는 마법의 문장 하나만 추가하면 ChatGPT 결과가 확 좋아진다는, 엄청나게 효과적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이라는 "마법"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접한다. 진짜로 그런가? 만일 그렇다고 친다고 하면, 왜 그런가? 논리적으로 그럴 수밖에 없는가? 이 마법으로 불리는 프롬프트 작성 기법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이 이야기가 처음 등장한 것은 Large Language Models are Zero-Shot Reasoners ( arXiv:2205.11916 [cs.CL] https://arxiv.org/abs/2205.11916 ) 논문이라 한다. 논문..

인공지능 2024.04.02

챗GPT AI 시각화 데이터 분석 - 막대 챠트 프롬프트 명령 (프롬프트와 영상) Tutorial

챗GPT AI 시각화 데이터 분석 - 막대 챠트 프롬프트 명령 (프롬프트와 영상) 막대그래프는 데이터 분석에서 가장 간단하고 쉬운 시각화 방식이다. 하지만 전문적으로 데이터 분석, 시각화를 하는 사람들은 챠트의 부분 부분을 조절해서 중요한 정보를 담고 발견한다. 파이썬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직접 사용하는 대신 인공지능 챗봇 챗GPT의 Advanced Data Analysis 고급데이터분석이 제공하는 시각화 기능을 사용해서도 이런 전문적인 시각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챠트 시각화 방법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챗GPT에서 프롬프트 명령으로 (사용자 관점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원하는 챠트의 모양을 표현하도록 지시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ChatGPT의 데이터분석 기능이 알아서 (사용자의 속마음까지 읽고)..

인공지능 2024.03.29

ChatGPT 데이터 분석 - Scatterplot 데이터 시각화 분석 예제(영상)

ChatGPT 데이터 분석 - Scatterplot 데이터 시각화 분석 예제(영상) AI 챗 GPT 고급데이터분석 기능으로 간단한 시각화 데이터 분석을 해보자 scatterplot을 사용해서 시각화를 하는 실전 예제를 step-by-step 진행해본다. 이 과정에서 ChatGPT의 고급 데이터 분석 Advanced Data Analysis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어떻게 챗GPT 프롬프트를 작성하는지 작성하는 방법을 익힌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패션브랜드의 고객 데이터를 예제로 scatterplot 분석을 통해, 고객들의 구매 행동과 선호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하는 과정을 연습한다. 이 과정에서 주요 분석 포인트는 고객의 연령대, 구매 금액, 구매 빈도 등에 대해 검토한다. 특히, 연령대별로..

인공지능 2024.03.21

[promptStrategies TIPs Series #19] ChatGPT 업무용 사용에서 프롬프트 6하원칙 명령 활용하기

[promptStrategies TIPs Series #19] ChatGPT 업무용 사용에서 프롬프트 6하원칙 명령 활용하기 ChatGPT를 업무용으로 사용할 때 6하원칙을 적용한다면 구체적이고 빠짐없이 정보를 제공하는 프롬프트를 작성할 수있다. 특히 무언가 계획을 세우는 경우라면 6하원칙을 활용할 때 빠르게 완성도 높은 계획 초안을 결과로 얻을 수 있다. 6하원칙이 무엇이었는지 부터 잠시 기억을 되살려 보고 다음 단계로 가보자. 6하원칙(5W1H)은 기사 작성, 연구, 문제 해결 등 여러 분야에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질문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무엇(What), 왜(Why), 언제(When), 어디서(Where), 누가(Who), 어떻게(How)의 6가지 질문으로 구성되어..

인공지능 2024.03.19